고인 생전심리 분석하는 '심리부검' 참여 139건 불과
김원이 의원 "심리부검 활성화 및 인프라 확충 필요"

김원이 의원(국회 보건복지위, 더불어민주당) / 사진=의원실 제공
김원이 의원(국회 보건복지위, 더불어민주당) / 사진=의원실 제공

[워라벨타임스] 극단적 선택을 한 사람이 3년째 1만3천명 이상을 기록하고  있지만, 원인을 심층적으로 규명하기 위한 '심리부검'의 참여도는 미미한 것으로 나타나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김원이 의원(더불어민주당)이 보건복지부 등으로부터 제출받아 17일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극단적 선택으로 사망한 사람은 총 13천195명이었다.

이러한 가운데 자살의 원인을 보다 심층적으로 규명하기 위해 정부가 진행하는 ‘심리부검’의 참여도는 미미한 수준인 것으로 드러났다.

심리부검은 사망자의 가족이나 지인의 진술과 기록을 통해 자살 전의 심리·행동양상 및 변화를 분석하는 프로그램을 말하는 것으로, 면담내용은 자살예방정책 수립의 근거로 활용된다.

최근 5년간 진행된 심리부검은 총 594건으로, 진술에 참가한 사람은 697명이다. 지난 2018년부터는 연 100건 이상이 진행되고 있으나, 최근 자살자 수를 감안할 때 심리부검 건수는 사망자의 1% 수준에 그치고 있다.

한편, 극단적 선택 사망자 관련 데이터를 수집, 정리하는 조사원 수도 턱없이 부족한 것으로 보인다.

보건복지부 자료에 따르면, 올해 자살 관련 경찰 수사기록 데이터를 정리, 조사하는 인원은 12명에 불과했다.

극단적 선택을 하는 사람 10명 중 3명 이상은 정신적 고통이나 정신과 질환으로 어려움을 겪은 것으로 분석됐다.

경찰청 '변사자통계'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19년 자살 원인 중 정신적 문제가 전체 사망자의 34.7%(4천638명)을 차지했다. 다음은 경제생활 문제 26.7%(3천564명), 육체적 질병 18.8%(2천518명) 순이었다.

김원이 의원은 "해마다 1만 3천명 이상이 극단적 선택으로 목숨을 잃지만 자살예방정책 수립을 위한 심리부검은 연 100건대로 미미한 수준"이라며, "자살의 선제적 예방을 위해선 관련 데이터를 수집, 활용할 수 있는 인프라가 확충돼야한다"고 말했다.

※우울감 등 말하기 어려운 고민으로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하면 자살예방 핫라인 1577-0199, 자살예방 상담전화 1393, 희망의 전화 129, 생명의 전화 1588-9191, 청소년 전화 1388 등에서 24시간 상담을 받을 수 있습니다.

저작권자 © 워라벨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