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 켈트족 전통 축제 '사윈'서 유래
아인랜드 이민자 몰린 미국에서 유행

경찰과 소방당국이 이태원 참사 현장 인근을 통제하고 사고 원인 규명 등 수습에 나섰다. 사진은 30일 오전 11시경 통제선이 설치된 현장 모습. ⓒ워라벨타임스

[워라벨타임스] 축제를 즐기려던 젊은이들이들에게 '악몽의 토요일 밤'이 되버린 이태원 참사. 그 배경에는 핼러윈((Halloween)이 있다. 핼러윈은 매년 10월 31일, 그리스도교 축일인 만성절(萬聖節) 전날 미국 전역에서 다양한 복장을 갖춰 입고 벌이는 축제다.

핼러윈은 유럽 켈트인의 전통 축제 사윈’(Samhain)에서 기원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켈트족은 한 해의 마지막 날이 되면 음식을 마련해 죽음의 신에게 제의를 올림으로써 죽은 이들의 혼을 달래고 악령을 쫓았다고 한다. 이 때 악령들이 해를 끼칠까 두려워한 사람들이 자신을 같은 악령으로 착각하도록 기괴한 모습으로 꾸미는 풍습이 있었는데, 이것이 핼러윈 분장 문화의 원형이 됐다는 것이다.

19세기 중반까지만 해도 미국의 핼러윈은 켈트족의 풍습을 간직하고 있던 스코틀랜드·아일랜드 이민자들이 치르는 소규모 지역 축제였다. 그러다가 1840년대 아일랜드 대기근으로 100만명의 아일랜드인들이 미국으로 이주하면서 핼러윈이 퍼져나가기 시작했고, 지금은 미국을 대표하는 축제로 자리 잡았다.

핼러윈 데이가 되면 각 가정에서는 호박에 눈·코·입을 파서 잭오랜턴(Jack-O’-Lantern)이라는 등을 만들고, 검은 고양이나 거미 같이 핼러윈을 상징하는 여러 가지 장식물로 집을 꾸민다.

아이들은 괴물이나 마녀, 유령으로 분장한 채 이웃집을 찾아다니면서 사탕과 초콜릿 등을 얻는데, 이 때 외치는 말이 '과자를 안 주면 장난칠 거야'라는 의미의 '트릭 오어 트릿(trick or treat)'이다.

핼러윈의 대표적인 놀이인 트릭 오어 트릿은 중세에 특별한 날이 되면 집집마다 돌아다니는 아이나 가난한 이들에게 음식을 나눠주던 풍습에서 기원한 것이다. 이날 학교를 비롯한 곳곳에서 분장 파티가 열리며 아이들뿐 아니라 성인들도 전통적인 주제나 유명인 혹은 영화 주인공으로 분장하고 축제를 즐긴다.

미국 소매업계에게 핼러윈은 크리스마스에 버금가는 대목이다. 잡화점과 식료품점에는 핼러윈 의상과 사탕류를 판매하는 매대가 따로 마련된다. 전미소매연뱅(NRF)는 올해 미국인들이 의상과 사탕, 장식품, 축하 카드 등에 106억달러(약 15조원)을 소비할 것으로 예측하기도 했다. 그리고 매년 미국 어린이들이 핼러윈에 받아 먹지 않고 쌓아뒀다가 버리는 사탕의 양이 4억달러어치에 달한다는 통계도 있다.

한국에서 핼러윈은 미국 영화나 드라마를 통해 접하는 생소한 문화였지만 미국 문화에 대한 경험이 많아지고, 기업들이 소비 촉진을 위한 마케팅 기회로 활용하면서 어린이와 젊은이들을 중심으로 유행하고 있다.

영어 유치원이나 키즈 카페, 캠핑장 등에서 어린이와 부모들을 대상으로 핼러윈 파티를 열기도 하고, 일부 연예인들이 핼러윈 분장을 하고 파티에 참가하는 모습을 소셜미디어에 올리면서 유행에 민감한 젊은이들의 호기심을 자극하기도 한다.

여기에 식품업계와 요식·관광업계 등도 핼러윈을 겨냥한 각종 행사와 상품을 내놓으면서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핼러윈 축제 확산에 일조하고 있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저작권자 © 워라벨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