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간 편차도 커 수도권보다 비수도권 감소 폭 더 크고 회복 속도 느려

한국직업능력연구원의 '코로나19 위기 중 지역별 청년 고용 추이' 보고서에 따르면 코로나19로 인한 청년층 고용률의 최대 감소율이 중년층보다 3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기사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음. ⓒ워라벨타임스

[워라벨타임스] 코로나19로 인한 청년층 '고용 충격'이 중년층보다 3배 이상 높았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앞서 전국경제인연합회는 국민이 느끼는 경제적 어려움을 수치화한 경제고통지수를 재구성해 산출한 ‘세대별 체감경제고통지수’를 토대로 올해 상반기 기준 청년 체감경제고통지수가 다른 연령대에 비해 훨씬 높다는 보고서를 발표한 바 있다.

청년층이 선호하는 양질의 일자리 부족으로 청년 취업난이 만성화되고 있다는 의미다.

한국직업능력연구원이 15일 발표한 '코로나19 위기 중 지역별 청년 고용 추이' 보고서에 따르면 코로나19로 인한 청년층 고용률의 최대 감소율이 중년층보다 3배 이상 높았다.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하반기 고용률과 비교해 30~54세 중년층 고용률은 2020년 상반기 2.4%, 2020년 하반기 2.3%, 2021년 상반기 1.5% 감소했다. 반면, 15~29세 청년층 고용률은 같은 기간 7.7%, 4.5%, 1.8% 감소했다.

청년층 및 중년층 고용률의 2019년 하반기 대비 변화율. 한국직업능력연구원 제공

지역 간 편차도 커, 비수도권 청년층 고용률 변화율이 수도권보다 최대 감소 폭이 더 크고 회복 속도도 느렸다.

시기별로는 코로나19 발생 초기인 2020년 상반기에는 국내 대부분 지역에서 청년 고용률이 급감했지만, 2020년 하반기 이후 회복기로 전환되면서 청년 고용률 변화율의 지역 간 편차가 확대됐다.

성별과 학력별로는 여성과 고졸 이하 고용률이 위기 초반 큰 폭으로 하락한 후 빠르게 회복됐다.

여성 청년 고용률은 2019년 하반기 대비 2020년 상반기 8.6% 감소해 남성(6.7%)보다 하락 폭이 컸으나, 2021년 상반기에는 남성(-3.7%)과 달리 위기 전 수준 이상(0.2%)으로 회복했다.

고졸 이하 청년 고용률은 2020년 상반기 11.1% 감소해 전문대졸 이상(8.3%)보다 하락 폭이 컸으나, 2021년 상반기에는 0.7% 감소해 전문대졸 이상(-6.8%)보다 빠르게 회복 속도를 보였다.

보고서를 작성한 황선웅 부경대 교수는 "중년층보다 청년층에서 훨씬 코로나19로 인한 고용 충격이 컸다는 점에서 향후 경제위기 대응 고용·노동 정책에서 청년 일자리 대책의 비중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지역별, 인적 특성별로도 고용률 추이의 차이가 크다는 점에서 향후 지역의 특수성과 정책대상자별 수요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지원 전략 마련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한편, 이 결과는 통계청의 '지역별고용조사' 원자료를 이용해 국내 17개 광역 시·도의 청년 고용률(15~29세 인구 중 취업자 비율로 정의)이 코로나19 대유행 기간(2020년 상·하반기, 2021년 상반기)에 코로나19 발생 이전(2019년 하반기) 대비 얼마나 증가(감소)했는지를 분석한 것이다.

저작권자 © 워라벨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