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10명 중 9명 이상 "워라벨 중요한 요소"
고학력이고 기혼자·자녀 수 많을수록 더 높아
워라벨 만족도는 보통 약간 웃도는 수준에 그쳐

국민 절반 이상(53.1%)이 일과 생활의 균형이 중요하다고 했고, 매우 중요하다는 응답도 39.9%에 달했다. 남성(90.5%)보다 여성(95.6%)이, 학력이 높을수록, 미혼보다 기혼자에서, 자녀수가 많을수록 중요하다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워라벨타임스

[워라벨타임스] 일과 생활의 균형을 의미하는 워라벨은 이제 친숙한 단어이다. 한국인은 장시간 일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최근들어 일 이외에 개인이나 가족에 시간과 에너지를 할애하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다. 일과 생활의 균형을 유지하는 것은 삶의 질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어 삶의 질 향상을 추구하는 현대인에게 중요한 삶의 목표 중 하나가 되고 있는 것이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발표한 '2022년 전국 일·생활 균형 실태조사'에 담긴 내용 분야별로 자세히 살펴본다. [편집자주]

워라벨은 이제 국민 대부분이 중요하게 고려하는 요소가 되고 있다. 실태조사를 보면 절반 이상(53.1%)이 일과 생활의 균형이 중요하다고 했고, 매우 중요하다는 응답도39.9%에 달했다. 국민 절대 대다수가 워라벨을 중요하게 보고 있다는 것이다.

워라벨에 대해 남성(90.5%)보다 여성(95.6%)이, 학력이 높을수록, 미혼보다 기혼자에서, 자녀수가 많을수록 중요하다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워라벨에 대한 만족도는 평균 4.44점(7점 만점)으로 보통을 약각 웃도는 수준이었다. 여성(4.38)보다 남성(4.49)이, 30대(4.35)와 40대(4.37)보다는 20대(4.54)나 50대(4.49)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학력이 높아질수록, 미혼보다 기혼의 경우, 취업한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보다, 월평균 가구소득이 높을수록 만족도도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워라벨이 어려운 이유로 취업자들은 다른 활동에 대한 경제적 부담(20.2%), 장시간 일하는 문화로 인해 어렵다(17.1%), 과도한 업무량(13.9%), 불규칙한 근무 일정(11.6%) 순이었다.

남성이 여성보다 어려운 점이 없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으며, 여성은 가사·육아로 인한 자율시간과 체력 부족에 대한 응답(12.7%)이 남성(5.6%)보다 높았다. 다만, 30대와 40대 집단에서는 가사·육아로 인한 자율시간과 체력 부족의 이유라는 응답 비율이 가장 높았지만 40대와 50대는 경제적 부담을 가장 많이 꼽았다.

비취업자들은 경제적 부담이 크다(31.1%)는 이유를 가장 많이 꼽았고, 학습이나 훈련 또는 돌봄 및 가사 등 현재 주로 하는 일의 양이 과도해서(22.1%), 주로 하는 일 이외에 무엇을 해야 할지 모른다(10.4%), 건강상 이유로 다른 활동이 어려워서(9.1%) 순이었다.

자녀 수가 늘어남에 따라 일의 양이 많은 점과 경제적 부담에 대한 응답 비율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고, 소득이 높을수록 워라벨 유지에 어려움이 없다는 응답 비율이 높았다.

워라벨을 위해 시간을 조정한다면 어떤 활동에 시간을 더 할애할 것이냐는 질문에는 개인 여가시간 확대(48.4%), 수면·식사·개인위생 등에 필요한 필수 유지 시간 확대(21.9%), 가족단위 여가시간을 늘릴 것(19.9%), 일·업무·학업이나 돌봄 등 의무활동 시간 확대(9.7) 순으로 답했다.

다만, 여성은 개인 여가시간 할애(52.0%)라는 답이 절반이 넘었고, 기혼의 경우는 가족 단위 여가시간 확대(28.9%)가 많았다.

거주하는 지역의 환경이나 인프라가 워라벨에 어느 정도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육아와 돌봄 관련 환경은 61.5%, 문화여가 환경은 60.7%가 도움이 된다고 답했다.

한편,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2022년 전국 일-생활 균형 실태조사'는 지난해 9월 20일부터 10월 7일까지 전국 만 19~59세 성인 남녀 2만20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으로 진행됐다. 총 2만000명이 응답했고, 응답자 성별 비율은 남성 51.3%, 여성 48.7%의 비율이다. 연령대별(만 기준) 분포는 19~29세 23.0%, 30~39세 21.8%, 40~49세 26.7%, 50~59세 28.4%였다. 지역별로는 수도권 거주자 52.8%, 비수도권 거주자 47.2%였다.

저작권자 © 워라벨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