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식·일 완료까지 시간, 워라벨 등에 대한 자유성은 비교적 높아
일하는 시간 동안 개인 일이나 정해진 장소에서의 업무는 떨어져
연령대 낮을수록 지속상관과의 소통 가능성이나 유연성도 낮아

휴식을 취하거나 일을 완료하기 위한 시간, 일·생활 병행 등에 있어서는 비교적 자율성이 있는 듯하지만, 일하는 시간 동안의 개인 일이나 정해진 장소에서의 업무에 대해서는 자율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분석됐다. ⓒ워라벨타임스

[워라벨타임스] 일과 생활의 균형을 의미하는 워라벨은 이제 친숙한 단어이다. 한국인은 장시간 일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최근들어 일 이외에 개인이나 가족에 시간과 에너지를 할애하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다. 일과 생활의 균형을 유지하는 것은 삶의 질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어 삶의 질 향상을 추구하는 현대인에게 중요한 삶의 목표 중 하나가 되고 있는 것이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발표한 '2022년 전국 일·생활 균형 실태조사'에 담긴 내용을 분야별로 자세히 살펴본다. [편집자주]

일하는 환경은 어떨까? 연구진은 일하는 환경의 자율성을 알아보기 위해 6개의 질문을 만들고, 이에 동의하는 비율(그런 편이다+매우 그렇다)을 구했다. 이에 따르면 ①근무 중 원할 때 휴식을 취할 수 있다에 대해서는 63.1%, ②맡은 일을 완료하기에 시간이 충분하다에 동의하는 비율은 75.5%, ③개인 일이나 집안일을 처리하기 위해 근무시간 중 한 두 시간을 낼 수 있다에 대한 긍정 응답은 57.3%였다. 이어 ④현재 근무 시간은 직장 이외의 사회생활이나 가정생활을 병행하기에 적당하다에 대한 긍정 응답 비율은 70.3%, ⑤맡은 일은 내가 매우 열심히 일해야만 할 수 있는 일이다는 71.7%, ⑥맡은 일은 필요한 경우 재택근무나 내가 정한 장소(또는 원하는 장소)에서 할수 있는 일이다에 대해서는 39.7%가 동의했다.

일하는 환경의 자율성(그런 편이다+매우 그렇다. 단위: %, 명).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제공

전반적으로 휴식을 취하거나 일을 완료하기 위한 시간, 일·생활 병행 등에 있어서는 비교적 자율성이 있는 듯하지만, 일하는 시간 동안의 개인 일이나 정해진 장소에서의 업무에 대해서는 자율성이 떨어졌다.

연령대로 보면 40대 이상에서 좀 더 자율성을 느끼는 환경에서 일하고 있는 경향을 보였고, 임금근로자보다 자영업자 및 무급가족종사자의 자율성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보건업 및 사회복지·교육 서비스업 분야에서 일하는 집단이 다른 분야보다 전반적으로 자율성이 낮았고, 정부·공공기관 등, 교대제인 경우도 상대 집단보다 자율성이 낮은 업무환경으로 나타났다.

일하는 환경의 자율성은 다른 변수보다 직속상관의 유연성과 소통 가능성에 따라서도 큰 차이를 보이는데, 상관은 나에게 인격적인 언어와 행동으로 대한다에 대해서는 77.4%가 그렇다고 했고, 상관이 퇴근하지 않았더라도 편하게 먼저 퇴근할 수 있다에 대해서는 79.1%가 동의했다.

또 상관에게 휴가나 조퇴 사용이 필요할 때 편하게 말할 수 있다에 대해서는 75.9%가 동의했고, 내가 개인 사정으로 근무시간 또는 휴가계획 변경이 필요할 때 상관이 바꾸도록 해준다는 것에 대한 긍정 응답은 81.0%였다.

직속상관이 비교적 유연하고 소통가능성이 높은 경우가 많았는데, 다만 연령이 낮아질수록 직속상관의 소통가능성이나 유연성에 대한 긍정 답변 비율이 떨어졌다.

연구책임자인 변수정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위원은 "재택근무나 정한 장소에서 맡은 일을 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해서는 약 40%가 동의해 근무 시간과 근무장소 조정에 대한 자율성이 높은 수준은 아닌 것 같다"면서 "특히 임금근로자의 경우 자율성이 더 낮은 경향이 있어 개인적인 일이나 가족생활에 특수한 상황이 생기면 어려움이 발생할 가능성이 커 보인다"고 지적했다.

한편,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2022년 전국 일-생활 균형 실태조사'는 지난해 9월 20일부터 10월 7일까지 전국 만 19~59세 성인 남녀 2만20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으로 진행됐다. 총 2만000명이 응답했고, 응답자 성별 비율은 남성 51.3%, 여성 48.7%의 비율이다. 연령대별(만 기준) 분포는 19~29세 23.0%, 30~39세 21.8%, 40~49세 26.7%, 50~59세 28.4%였다. 지역별로는 수도권 거주자 52.8%, 비수도권 거주자 47.2%였다.

저작권자 © 워라벨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